맨위로가기

영국의 외무장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의 외무장관은 1782년 외무부 신설과 함께 창설되어, 영국의 외교 정책을 총괄하는 직책이다. 외무장관은 외국과의 관계, 해외 이익 증진, 영연방 및 해외 영토 관련 업무, 비밀 정보국(MI6)과 정부 통신 본부(GCHQ) 감독 등의 권한을 갖는다. 1 칼턴 가든이 공식 관저이며, 1968년 외무부와 영연방부가 통합되면서 외무·영연방 장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20년에는 국제 개발부가 합병되어 외무·영연방·개발 장관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외무장관 - 보리스 존슨
    미국 출생의 영국 정치인 보리스 존슨은 언론인으로 활동하다 런던 시장과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브렉시트를 완수했으나, 여러 논란으로 사임한 인물이다.
  • 영국의 외무장관 - 아서 밸푸어
    영국의 정치가이자 철학자인 아서 밸푸어는 보수당 총리,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밸푸어 선언을 통해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했고 아일랜드 문제 등 다양한 현안에 관여했다.
영국의 외무장관
직책 개요
직책 명칭외무・영연방・개발 장관
영어 명칭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Commonwealth and Development Affairs
약칭외무 장관 (Foreign Secretary)
소속 국가영국
담당 기관외무・영연방・개발부
직책 종류각내대신
직책 등급국무장관
역할내각 구성원
임명권자국왕 (총리의 조언에 따라)
임기국왕 폐하의 뜻에 따라
급여연간 154,089 GBP (2022년 기준)
웹사이트외무 장관 공식 웹사이트
현직 정보
현직데이비드 래미
취임일2024년7월 5일
거주지칼턴 하우스 테라스 1번지 (공식)
체브닝 (시골 저택)
소재지킹 찰스 스트리트
역사
최초 임명찰스 제임스 폭스 (외무 장관으로서)
설립일1782년 3월 27일 (외무 장관으로서)
2020년 9월 2일 (외무・영연방・개발 장관으로서)
권한 및 책임
보고 대상총리
역할내각 구성원
추밀원
국가안전보장회의
기타대외 관계 및 외교 정책 수립 및 집행
GCHQ에 대한 일상적인 책임
이미지
데이비드 래미
데이비드 래미 외무장관
영국의 국장
국왕 폐하의 정부의 영국 국장

2. 역사

1782년 영국 정부 개편으로 북부부 국무장관과 남부부 국무장관이 각각 내무부 장관과 외무부 장관이 되면서 '''외무부 장관'''(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ffairs영어) 직책이 창설되었다.[10] 인도부는 외무부의 전신 기관 중 하나였다.[11]

2. 1. 외무장관 (1782년-1968년)

1782년부터 1968년까지 '외무장관'(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ffairs)은 영국의 외교 정책을 총괄하는 직책이었다.[14] 이 직책을 역임한 주요 인물로는 찰스 제임스 폭스, 조지 캐닝, 헨리 존 템플 등이 있다.

성명초상취임퇴임정당총리
1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찰스 제임스 폭스
1782년 3월 27일1782년 7월 5일
사임
휘그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2대 로킹엄 후작
2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2대 그랜섬 남작
1782년 7월 13일1783년 4월 2일휘그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2대 셸번 백작
3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찰스 제임스 폭스1783년 4월 2일1783년 12월 19일휘그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3대 포틀랜드 공작
4style="background-color: #전송 " |템플 백작
1783년 12월 19일1783년 12월 23일토리당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윌리엄 피트 (소 피트)
5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카마던 후작
1783년 12월 23일1791년 5월
(사임)
토리당
6style="background-color: #전송 " |그렌빌 남작Image:1st Baron Grenville-cropped.jpg1791년 6월 8일1801년 2월 20일토리당
7style="background-color: #전송 " |헉스버리 남작
1801년 2월 20일1804년 5월 14일토리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헨리 애딩턴
8style="background-color: #전송 " |
1804년 5월 14일1805년 1월 11일토리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윌리엄 피트 (소 피트)
9style="background-color: #전송 " |멀그레이브 경
1805년 1월 11일1806년 2월 7일토리당
10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찰스 제임스 폭스1806년 2월 7일1806년 9월 13일
(사망)
휘그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그렌빌 남작
11style="background-color: #전송 " |호윅 자작
1806년 9월 24일1807년 3월 25일휘그당
12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조지 캐닝
1807년 3월 25일1809년 10월 11일토리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3대 포틀랜드 공작
13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3대 배서스트 백작
1809년 10월 11일1809년 12월 6일토리당
14style="background-color: |초대 웰즐리 후작
1809년 12월 16일1812년 3월 4일토리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스펜서 퍼시벌
15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캐슬리 자작
1812년 3월 4일1822년 8월 12일
(사망)
토리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2대 리버풀 백작
16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조지 캐닝1822년 9월 16일1827년 4월 30일토리당
17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
1827년 4월 30일1828년 6월 2일토리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조지 캐닝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초대 고드리치 자작
18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4대 아버딘 백작
1828년 6월 2일1830년 11월 22일토리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초대 웰링턴 공작
19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3대 팜스턴 자작
1830년 11월 22일1834년 11월 14일휘그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2대 그레이 백작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2대 멜버른 자작
20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초대 웰링턴 공작
1834년 11월 14일1835년 4월 18일토리당style="background-color:#전송 " |초대 웰링턴 공작
style="background-color: #00aeef" |서 로버트 필 준남작
21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3대 팜스턴 자작1835년 4월 18일1841년 9월 2일휘그당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2대 멜버른 자작
22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4대 아버딘 백작1841년 9월 2일1846년 7월 6일보수당style="background-color: #00aeef" |서 로버트 필 준남작
23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3대 팜스턴 자작1846년 7월 6일1851년 12월 16일휘그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존 러셀 경
24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2대 그랜빌 백작
1851년 12월 26일1851년 2월 27일휘그당
25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마름즈베리 백작1852년 2월 27일1852년 12월 28일보수당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14대 더비 백작
26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존 러셀 경Image:Lord john russell.jpg1852년 12월 28일1853년 2월 21일휘그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99FF99" |제4대 아버딘 백작
27height=15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4대 클래런던 백작Image:4thEarlOfClarendon.jpg1853년 2월 21일1858년 2월 26일휘그당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style="background-color: #전송 " |제3대 팜스턴 자작
28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마름즈베리 백작1858년 2월 26일1859년 6월 18일휘그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14대 더비 백작
29style="background-color: #ffd700" |존 러셀 경Image:Lord john russell.jpg1859년 6월 18일1865년 11월 3일자유당style="background-color: #ffd700" |제3대 팜스턴 자작
30style="background-color: #ffd700" |제4대 클래런던 백작Image:4thEarlOfClarendon.jpg1865년 11월 3일1866년 7월 6일자유당style="background-color: #ffd700" |초대 러셀 백작
31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00aeef" |스탠리 경Image:Edward Stanley, 15th Earl of Derby 2.jpg1866년 7월 6일1868년 12월 9일보수당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14대 더비 백작
style="background-color: #00aeef" |벤자민 디즈레일리
32style="background-color: #ffd700" |제4대 클래런던 백작Image:4thEarlOfClarendon.jpg1868년 12월 9일1870년 7월 6일자유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ffd700" |윌리엄 글래드스턴
33style="background-color: #ffd700" |제2대 그랜빌 백작Image:Second Earl Granville.jpg1870년 7월 6일1874년 2월 21일자유당
34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15대 더비 백작Image:Edward Stanley, 15th Earl of Derby 2.jpg1874년 2월 21일1878년 4월 2일보수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00aeef" |벤자민 디즈레일리
35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솔즈베리 후작
1878년 4월 2일1880년 4월 28일보수당
36style="background-color: #ffd700" |제2대 그랜빌 백작Image:Second Earl Granville.jpg1880년 4월 28일1885년 6월 24일자유당style="background-color: #ffd700" |윌리엄 글래드스턴
37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솔즈베리 후작1885년 6월 24일1886년 2월 6일보수당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솔즈베리 후작
38style="background-color: #ffd700" |제5대 로즈베리 백작
1886년 2월 6일1886년 8월 3일자유당style="background-color: #ffd700" |윌리엄 글래드스턴
39style="background-color: #00aeef" |초대 이데슬리 백작
1886년 8월 3일1887년 1월 12일
(사망)
보수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솔즈베리 후작
40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솔즈베리 후작1887년 1월 14일1892년 8월 11일보수당
41style="background-color: #ffd700" |제5대 로즈베리 백작1892년 8월 18일1894년 3월 11일자유당style="background-color: #ffd700" |윌리엄 글래드스턴
42style="background-color: #ffd700" |초대 킴벌리 백작Image:1st Earl of Kimberley 1897.jpg1894년 3월 11일1895년 6월 21일자유당style="background-color: #ffd700" |제5대 로즈베리 백작
43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솔즈베리 후작1895년 6월 29일1900년 11월 12일보수당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솔즈베리 후작
44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제5대 렌즈다운 후작Image:Henry Petty-FitzMaurice, 5th Marquess of Lansdowne - Project Gutenberg eText 16528.jpg1900년 11월 12일1905년 12월 4일자유연합당style="background-color: #00aeef" |제3대 솔즈베리 후작
style="background-color: #00aeef" |아서 밸푸어
45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ffd700" |서 에드워드 그레이 준남작Image:Picture of Edward Grey, 1st Viscount Grey of Fallodon.jpg1905년 10월 10일1916년 10월 10일자유당style="background-color: #ffd700" |서 헨리 캠벨-배너먼
style="background-color: #ffd700"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46style="background-color: #00aeef" |아서 밸푸어Image:Arthur Balfour, photo portrait facing left.jpg1916년 12월 10일1919년 10월 23일보수당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ffd700"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47height=15 style="background-color: #00aeef" |커존 오브 케들스턴 백작Image:Curzon GGBain.jpg1919년 10월 23일1924년 1월 22일보수당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00aeef" |style="background-color: #00aeef" |앤드루 보너 로
style="background-color: #00aeef" |스탠리 볼드윈
48style="background-color: #DC241f" |램지 맥도널드Image:Ramsay MacDonald ggbain 35734.jpg1924년 1월 22일1924년 11월 3일노동당style="background-color: #DC241f" |램지 맥도널드
49style="background-color: #00aeef" |서 오스틴 체임벌린Image:Austen Chamberlain nobel.jpg1924년 11월 6일1929년 6월 4일보수당style="background-color: #00aeef" |스탠리 볼드윈
50style="background-color: #DC241f" |아서 헨더슨Image:1910 Arthur Henderson.jpg1929년 6월 7일1931년 8월 24일노동당style="background-color: #DC241f" |램지 맥도널드
51style="background-color: #ffd700" |초대 레딩 후작


2. 2. 외무·영연방 장관 (1968년-2020년)

1968년 영국 외무부와 영연방부가 통합되면서 '외무·영연방 장관'(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nd Commonwealth Affairs) 직책이 신설되었다. 이 직책을 맡은 최초의 여성은 마거릿 베켓이다.

외무·영연방 장관
초상화Name
사망)}}
재임 기간정당부처국왕
style="background-color: " |마이클 스튜어트
1990)}}
1968년 10월 17일1970년 6월 19일노동당윌슨
2022)}}
style="background-color: " |
75px
알렉 더글러스-홈
1995)}}
1970년 6월 20일1974년 3월 4일보수당히스
style="background-color: " |
75px
제임스 캘러핸
2005)}}
1974년 3월 5일1976년 4월 5일노동당윌슨
" |
75px
앤서니 크로스랜드
1977)}}
1976년 4월 8일1977년 2월 19일노동당캘러핸
style="background-color: " |
75px
데이비드 오언
1977년 2월 22일1979년 5월 4일노동당
style="background-color: " |
75px
피터 캐링턴
6대 캐링턴 남작
2018)}}
1979년 5월 4일1982년 4월 5일보수당대처 I
style="background-color: " |
75px
프랜시스 파임
2008)}}
1982년 4월 6일1983년 6월 11일보수당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75px
제프리 호위
2015)}}
1983년 6월 11일1989년 7월 24일보수당대처 II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rowspan=3 | 대처 III
style="background-color: " |
75px
존 메이저
1989년 7월 24일1989년 10월 26일보수당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rowspan=3 |
75px
더글러스 허드
1989년 10월 26일1995년 7월 5일보수당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메이저 I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rowspan=2 | 메이저 II
style="background-color: " |
75px
말콤 리프킨드
1995년 7월 5일1997년 5월 2일보수당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75px
로빈 쿡
2005)}}
1997년 5월 2일2001년 6월 8일노동당블레어 I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75px
잭 스트로
2001년 6월 8일2006년 5월 5일노동당블레어 II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rowspan=2 | 블레어 III
style="background-color: " |
75px
마거릿 베켓
2006년 5월 5일2007년 6월 27일노동당
style="background-color: " |
75px
데이비드 밀리반드
2007년 6월 28일2010년 5월 11일노동당브라운
style="background-color: " |
75px
윌리엄 헤이그
2010년 5월 12일2014년 7월 14일보수당rowspan=2 style="|yes=background: rgba(, 0.7) |blank=background:#ddd}};}" | 캐머런-클레그
자민.'')}}

|-

!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rowspan=2 |
75px


| rowspan=2 | '''필립 해먼드'''


| rowspan=2 | 2014년 7월 14일

| rowspan=2 | 2016년 7월 13일

| rowspan=2 | 보수당

|-

! style="background-color: ; border-top:none" |

| 캐머런 II

|-

!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 rowspan=2 |
75px


| rowspan=2 | '''보리스 존슨'''[15]


| rowspan=2 | 2016년 7월 13일

| rowspan=2 | 2018년 7월 9일

| rowspan=2 | 보수당

| 메이 I

|-

!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rowspan=2 | 메이 II

|-

! style="background-color: " |

|
75px


| '''제레미 헌트'''[16]


| 2018년 7월 9일

| 2019년 7월 24일

| 보수당

|-

!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 rowspan=2 |
75px


| rowspan=2 | '''도미니크 라브'''[17]


| rowspan=2 | 2019년 7월 24일

| rowspan=2 | 2020년 9월 2일

| rowspan=2 | 보수당

| 존슨 I

|-

! style="background-color: ; border:none" | 존슨 II

|}

2. 3. 외무·영연방·개발 장관 (2020년-현재)

2020년, 외무부와 국제 개발부가 합병되면서 '외무·영연방·개발 장관'(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Commonwealth and Development Affairs)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초상화이름재임 기간정당부처군주
style="background-color: |도미닉 라브
2020년 9월 2일2021년 9월 15일보수당존슨 2기엘리자베스 2세

2022)}}
style="background-color: |
|100x100px]]
리즈 트러스
2021년 9월 15일2022년 9월 6일보수당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
|75px]]
제임스 클리버리
2022년 9월 6일2023년 11월 13일보수당트러스style="background:#eaecf0 ; border-style: none solid solid solid ;" |
찰스 3세
|60px]]
(2022–현재)
수낵
style="background-color: |
|75px]]
데이비드 캐머런
2023년 11월 13일2024년 7월 5일보수당
style="background-color: |
|75px]]
데이비드 래미
2024년 7월 5일현직노동당스타머


3. 역할 및 권한

영국 외무장관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4]


  • 외국 및 정부와의 영국의 관계
  • 해외에서의 영국의 이익 증진[5]
  • 영연방 및 해외 영토에 관한 문제[5]
  • 비밀 정보국(MI6) 및 정부 통신 본부(GCHQ) 감독[6]


외무장관의 공식 관저는 런던의 1 칼턴 가든이다.[7] 외무장관은 잉글랜드 남동부 켄트에 위치한 컨트리 하우스인 체브닝 하우스도 사용할 수 있다.[8] 외무장관은 화이트홀에 있는 외무부에서 근무한다.[9]

4. 통치행위

영국 비밀정보국법(Intelligence Services Act 1994) 제7조는 국외에서 벌어지는 비밀작전이 영국 외무장관의 허가 아래 이뤄지는 경우 형사상, 민사상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비밀작전에 7조를 적용해 달라는 요청은 9·11 테러 이후 급증해, 2009년에만 500건의 외무장관 서명이 이뤄졌다.[22]

즉 영국 총리의 승인 없이, 영국 외무장관 단독 승인하에, 통치행위가 광범위하게 인정된다. 영국 외무장관으로부터 살인면허를 받은 스파이로, 영화 속의 주인공이기도 한 007의 제임스 본드가 유명하다. 이러한 스파이 제도의 원조가 영국이며, 전세계 스파이들은 모두 영국 스파이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영국 외무장관이 해외 비밀작전을 승인하거나 동화상으로 실시간 작전상황을 모니터링, 지휘할 경우, 코브라 회의를 했다고 보도된다.

5. 역대 외무장관 목록



찰스 제임스 폭스는 1782년 3월 27일부터 1782년 7월 5일까지, 그리고 1783년 4월 2일부터 1783년 12월 19일까지, 1806년 2월 7일부터 1806년 9월 13일까지 세 차례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휘그당 소속으로, 조지 3세 치세 하에 로킹엄 후작, 샐번 백작, 포틀랜드 공작 총리 밑에서 재임했다.

제2대 그랜섬 남작 토머스 로빈슨은 1782년 7월 13일부터 1783년 4월 2일까지 샐번 백작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템플 백작은 1783년 12월 19일부터 1783년 12월 23일까지 토리당 소속으로 윌리엄 피트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리즈 공작은 1783년 12월 23일부터 1791년 5월까지 윌리엄 피트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그렌빌 경은 1791년 6월 8일부터 1801년 2월 20일까지 윌리엄 피트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리버풀 백작은 1801년 2월 20일부터 1804년 5월 14일까지 시드머스 자작과 윌리엄 피트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해로비 남작은 1804년 5월 14일부터 1805년 1월 11일까지 윌리엄 피트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멀그레이브 남작은 1805년 1월 11일부터 1806년 2월 7일까지 윌리엄 피트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호윅 자작은 1806년 9월 24일부터 1807년 3월 25일까지 그렌빌 경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조지 캐닝은 1807년 3월 25일부터 1809년 10월 11일까지 포틀랜드 공작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배서스트 백작은 1809년 10월 11일부터 1809년 12월 6일까지 스펜서 퍼시벌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웰즐리 후작은 1809년 12월 6일부터 1812년 3월 4일까지 스펜서 퍼시벌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런던데리 후작은 1812년 3월 4일부터 1822년 8월 12일까지 리버풀 백작 내각에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6. 같이 보기

7.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Salaries of Members of His Majesty's Government – Financial Year 2022–23 https://assets.publi[...] 2022-12-15
[2] 웹사이트 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Commonwealth and Development Affairs https://www.gov.uk/g[...] 2021-06-30
[3] 웹사이트 Afghanistan: The questions facing Foreign Secretary Dominic Raab https://www.bbc.co.u[...] 2021-09-01
[4] 웹사이트 Senior Cabinet posts https://www.national[...]
[5] 웹사이트 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nd Commonwealth Affairs https://www.gov.uk/g[...]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14-09-04
[6] 웹사이트 Ministerial responsibility https://www.gchq.gov[...] GCHQ 2017-05-25
[7] Hansard Written Answers to Questions: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1 Carlton Gardens https://www.publicat[...] 2009-05-06
[8] 뉴스 Dominic Raab and Liz Truss agree to share 115-room mansion https://www.bbc.com/[...] BBC News 2021-10-13
[9] 뉴스 Britain's Foreign Office has badly lost its way, say critics https://www.ft.com/c[...] 2022-02-04
[10] 서적 Office-Holders in Modern Britain: Volume 2 – Officials of the Secretaries of State 1660–1782 https://www.british-[...] University of London
[11] 웹사이트 India Office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2-02-04
[12] 웹사이트 Margaret Beckett https://www.european[...] European Leadership Network 2022-02-04
[13] 웹사이트 Merging success: Bringing together the FCO and DFID : Government Response to Committee's Second Report https://publications[...] UK Parliament 2022-02-04
[14] 웹사이트 Past Foreign Secretaries https://www.gov.uk/g[...]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17-09-08
[15] 뉴스 Boris Johnson quits to add to pressure on May over Brexit https://www.bbc.com/[...] 2018-07-09
[16] 뉴스 Jeremy Hunt replaces Boris Johnson as foreign secretary https://www.bbc.co.u[...] 2018-07-09
[17] 뉴스 Raab appointed foreign secretary and first secretary of state https://www.theguard[...] 2019-08-14
[18] 웹사이트 Salaries of Members of His Majesty's Government – Financial Year 2022–23 https://assets.publi[...] 2022-12-15
[19] 웹사이트 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nd Commonwealth Affairs https://www.gov.uk/g[...]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 웹사이트 Ministerial responsibility https://www.gchq.gov[...] 2017-05-25
[21] 뉴스 英首相、発言が問題視された内相を解任 後任はクレヴァリー外相、新外相はキャメロン元首相 https://www.bbc.com/[...] 2023-11-13
[22] 문서 MI6·MI5·GCHQ…본드의 ‘살인 면허’ 따라하지 말란 말야, 한겨레, 2014-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